반응형 전체 글99 [SQL] 데이터베이스 특징과 스키마 종류 데이터베이스 Database : 특정 조직이 업무 수행하는데 필요한 관련있는 자료들의 집합체 (통합, 저장, 운영, 공용) 데이터베이스의 정의 - 통합데이터 Intergrated Data : 자료의 중복을 배제 또는 최소화한 데이터의 집합 - 저장데이터 Stored Data : 컴퓨터가 근접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의 집합 - 운영데이터 Operation Data : 조직의 업무를 수행하는데 잇어서 존재 가치가 확실하고 없어서는 안될 반드시 필요한 데이터의 집합 - 공용데이터 Shared Data : 여러 응용 시스템(사람)들의 공동으로 소유하고 유지하는 데이터의 집합 데이터베이스 특징 - 실시간 접근 : 원할때마다 언제든지 바로 접근해서 자료를 처리할 수 있다. - 계속적인 변화 : 데이터.. 2022. 4. 29. 파이썬 자료형 특징과 활용 & 인덱싱, 슬라이싱 파이썬 자료형 활용 : + 파이썬은 데이터 타입을 따로 선언하지 않는다. Set 세트형 : 중복된 원소를 허용하지 않는 집합의 성질을 가지고 있는 자료구조 List 리스트형 : 크기가 가변적으로 변하는 선형리스트의 성질을 가지고 있는 자료구조 Tuple 튜플형 : 초기에 선언된 값에서 값을 생성, 삭제, 수정이 불가능한 형태의 자료구조 Dictionary 딕셔너리형 : 키와 값으로 구성된 객체를 저장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 자료구조 (자바의 HashMap) Set 선언 세트명 = set([요소1, 요소2, ...]) 세트명 = {요소1, 요소2, ...} Set 메서드 add(값) : 값을 1개 추가하는 메서드 update([값1, 값2, ...]) : 여러 개의 값을 한꺼번에 추가하는 메서드 remove.. 2022. 4. 27. 자바 자료형 활용 : ArrayList, HashSet, HashMap 자바 자료형 활용 : ArrayList, HashSet, HashMap HashSet : 중복된 원소를 허용하지 않는 집합(Set)의 성질을 가진 클래스로 순서가 중요하지 않다. ArrayList : 크기가 가변적으로 변하는 선형리스트의 성질을 가진 클래스로 순서가 중요하며 인덱스를 통해 접근 가능하다. Linked List : 데이터를 저장하는 노드가 이전 노드와 다음 노드의 상태를 알고 있는 링크드 리스트 자료구조를 구현한 클래스 Hash Map : 키와 값으로 구성된 객체를 저장하는 구조고 되어 있는 자료구조를 구현한 클래스 HashSet 선언 Set 변수명 = new HashSet( ) ; HashSet 변수명 = new HashSet( ) ; :: Set, HashSet 모두 가능하다. Hash.. 2022. 4. 26. 변수의 다양한 활용 : static 변수, 배열 static 변수 (정적) : 프로그램이 시작될 때 변수를 초기화하고, 프로그램이 종료되기 전까지 메모리가 유지되는 변수를 뜻하며, 변수를 static으로 생성하면 처음 한 번만 초기화 되고, 함수에 의해서 변수 선언 부분이 여러 번 호출되더라도 초기화되지 않는다. 참고> void fn(){} 중괄호까지만 해당 변수가 유지된다. void fn(){ int a } 배열 : 같은 타입의 변수들로 이루어진 집합 다른타입로 이루어진 경우 : 구조체 struct(structure) - 2차원 배열의 예시 : a[0][0]의 값 1을 제외하고는 나머지는 0으로 초기화 int a[2][2] = {1}; // 행, 열 1 = a[0][0] 0 = a[0][1] 0 = a[1][0] 0 = a[1][1] - 배열 선언 .. 2022. 4. 23. Array, Pointer 배열과 포인터 Array, Pointer 배열과 포인터 포인터 : 변수의 주솟값을 저장하는 공간 포인터 선언 : 데이터타입(int) * 포인터_변수명(b) =&변수명 (&a) int a =10; int*b = &a; int* : 정수만 가리키는 포인터 & : 주솟값을 가리킴 1차원 배열과 1차원 포인터 : 1차원 배열에서 배열명만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1차원 포인터와 동일하다. 1차원 배열일 때 배열명[요소]형태 ::a[0] , *(배열명+요소) :: *(a+1) , 1차원 포인터일 때 포인터[요소] :: p[0] 형태, *(포인터+요소) :: *(p+1)일 경우 값을 가리킴 배열의 주소 배열명 == 배열명[0] 배열의 0번지 값 배열명[0] == *배열명 1차원 배열과 1차원 포인터 예시 int a[3] = {1, .. 2022. 4. 22. 진수 변환과 ASCII 아스키코드 : 2진수 변환하기 진수 특정 개수의 숫자만을 이용해 수를 나타내는 수 체계로 10진수 이하일 때는 0-9를 사용하고, 10진수 초과할 경우 영어 알파벳을 이용해 나타낸다. 10진수 16진수 0 - 9 0 - 9 10 A 11 B 12 C 13 D 14 E 15 F 10진수 -> n진수 변환 : 10진수 값을 몫이 n보다 작을 때까지 n으로 나누고, 나머지 값들을 표시한 후에 나머지 값들을 읽는다. - 2진수로 변환 : 숫자를 2로 나누어 몫이 1이 될 때까지 나누어 준다. 15를 2진수로 변환 : 15를 8진수로 변환 : n진수 -> 10진수 변환 : n진수에서 마지막 자리는 자리 숫자에 자릿값 n의 0(=1) 곱하고, 마지막 두 번째 자리는 자리 숫자에 자릿.. 2022. 4. 21. 이전 1 ··· 4 5 6 7 8 9 10 ··· 17 다음 반응형